무르익은 황금 빛 벼들과 시원한 바람이 활짝~
![](http://cfile25.uf.tistory.com/image/222CA13D57FDD5D63FE7C5)
참가자들을 환영이라도 하듯 잠자리들은 잔뜩 날아다녔고요.
옷 위에 살포시 앉기도 했어요.
가을 농촌 체험은 어떨까요?
-
자연에서 온 아름다운 색,
나만의 손수건 만들기
![](http://cfile1.uf.tistory.com/image/230D234057FDD4C71ADF8A)
첫 번째 체험은 손수건을 천연 색으로 염색할 거예요!
![](http://cfile5.uf.tistory.com/image/23227A4057FDD4C807EF1E)
중화권 유학생과 영어권 유학생이 있어서
통역은 두 명이 맡아서 진행했습니다.
![](http://cfile10.uf.tistory.com/image/2275794057FDD4F4343A9F)
오늘 염색을 통해 만들 수 있는 그림은 이렇습니다.
![](http://cfile21.uf.tistory.com/image/26228A4057FDD4CA077B9E)
먼저 큰 볼에 따뜻한 물을 준비해요.
얼마나 따뜻한지 손으로 확인한 후~
![](http://cfile29.uf.tistory.com/image/2214424057FDD4CC14B266)
손수건을 넣습니다. 손수건이 따뜻한 물에서 목욕을 마치면,
![](http://cfile2.uf.tistory.com/image/2177694057FDD4F333FC27)
찬물로 헹궈준 뒤 물을 짜줍니다.
![](http://cfile5.uf.tistory.com/image/227A994057FDD4F82FEAC4)
젖은 손수건을 편편하게 펴고
![](http://cfile10.uf.tistory.com/image/262CBE4057FDD4F90274B1)
선생님께서 모양 잡는 법을 알려주고 계세요.
![](http://cfile29.uf.tistory.com/image/261D5C4057FDD4FD0D55DD)
원하는 모양대로 손수건을 고무줄로 꽉 묶은 뒤
![](http://cfile10.uf.tistory.com/image/246A0A4557FDD55219FAF0)
염료에 넣습니다.
![](http://cfile27.uf.tistory.com/image/2178264557FDD5540F5807)
담궜다가 빼면 벌써 예쁜 색이 물들었어요.
![](http://cfile24.uf.tistory.com/image/257CDC4557FDD5550B217C)
그걸 빨래하듯 물기를 꽉~~~ 짭니다.
![](http://cfile29.uf.tistory.com/image/2268C74557FDD557195342)
탈탈 털어 빨랫줄에 널면 금방 마르는데요.
![](http://cfile27.uf.tistory.com/image/2705014557FDD55905E0EC)
우왓, 하트 모양을 정말 잘 만들었죠?
![](http://cfile30.uf.tistory.com/image/2450254557FDD55B35F31F)
"색이 정말 예쁘고, 모양이 잘 나와서 좋아요!"
![](http://cfile10.uf.tistory.com/image/2241D34557FDD55D45A8FF)
다같이 들고 한 컷~
![](http://cfile8.uf.tistory.com/image/237DB84257FDD59C06D23C)
천연 염색 체험 후 나혜인 선생님의 작품들이 전시된 갤러리에 갔어요.
![](http://cfile27.uf.tistory.com/image/225D564257FDD59E24ED74)
앞마당에서 한 컷~
모두 들어갈 준비 되었나요?
![](http://cfile24.uf.tistory.com/image/2254354257FDD5A32C06A4)
안에는 전통 한지를 비롯 천연 재료로 염색한 다양한 물건들이 있었어요.
![](http://cfile7.uf.tistory.com/image/2668C34257FDD5A11745AB)
외국인 유학생들에게는 정말 흥미로운 시간이었을 거예요!
![](http://cfile4.uf.tistory.com/image/2578294257FDD59F0BDD40)
선생님의 손길이 닿은 계량 한복들도 구경하고,
![](http://cfile28.uf.tistory.com/image/2775274257FDD5A40EFAB4)
선생님과 함께 이곳저곳 구경하며 유익한 정보를 들었어요.
![](http://cfile2.uf.tistory.com/image/237D1F4257FDD5A6073187)
고풍스러운 의자에 앉아보기도 하고,
![](http://cfile23.uf.tistory.com/image/2666803D57FDD5CC083D3C)
야외에서는, 정갈하게 놓인 장독대를 구경 중이에요.
안에 담긴 전통 장도 볼 수 있었어요.
-
시골에서 먹는 밥은 무슨 맛일까?
![](http://cfile21.uf.tistory.com/image/2469EE3D57FDD5D30565C3)
먹고 싶은 만큼 푸짐하게 담아요.
![](http://cfile3.uf.tistory.com/image/2757213D57FDD5D013B700)
"잘 먹겠습니다~~"
![](http://cfile24.uf.tistory.com/image/263AB43D57FDD5D12FF728)
"한국 밥 맛있어요~"
-
짚으로 계란 꾸러미를 만들어요.
![](http://cfile29.uf.tistory.com/image/2507EF4557FDD63B074A7C)
두 번째 체험은, 짚공예입니다.
![](http://cfile27.uf.tistory.com/image/2508D54557FDD63F06DE25)
옛날에는 짚으로 여러 가지 물건을 만들어서 사용했는데요.
그 중에 하나는 계란 집을 만들어서 시장에 내다 팔았다고 해요.
![](http://cfile4.uf.tistory.com/image/2606EB4557FDD64108DB59)
짚 공예 시작합니다~~~
![](http://cfile4.uf.tistory.com/image/2507074557FDD643089D50)
먼저 짚을 한 움큼 집고, 한 쪽을 고무줄로 묶어줘요.
그 다음 계란을 위에 있는 모양대로 올려놓아요.
![](http://cfile9.uf.tistory.com/image/260DC14557FDD64502D6AB)
그리고 반대편에 꺾여 있던 짚을 앞으로 가져와 계란을 감싸 안고,
![](http://cfile3.uf.tistory.com/image/2569F94557FDD6471D23ED)
계란이 움직여서 잘 잡아야 해요.
![](http://cfile28.uf.tistory.com/image/2264784257FDD66A1FB47F)
한 쪽을 짚으로 단단하게 묶어줍니다.
![](http://cfile22.uf.tistory.com/image/2654354257FDD66E2F4459)
다른 짚으로 계란 하나 하나 모양을 잡아줍니다.
![](http://cfile24.uf.tistory.com/image/25729D4257FDD66C1326E3)
튼튼하게 묶어야 들고다니기 좋아요.
![](http://cfile7.uf.tistory.com/image/2370F94257FDD66F153F51)
그런 다음 한쪽에 풀어헤친 짚을 예쁘게 땋아줘요.
![](http://cfile7.uf.tistory.com/image/256AA14257FDD6731865B0)
머리 묶듯이 정갈하게
![](http://cfile7.uf.tistory.com/image/2364844257FDD6761F5C1C)
촘촘히 묶어준 짚을 앞으로 당겨서 묶어주면,
![](http://cfile8.uf.tistory.com/image/2768F24257FDD67818E4F1)
짠, 완성!
예쁜 계란 집이 완성되었어요~
![](http://cfile27.uf.tistory.com/image/2253B14157FDD6B02B3A5C)
두 개를 합쳐서 들으면 하트 모양이 되네요.
"중국에서는 짚으로 무엇을 만들지 않아요.
옛날 한국 사람들은 참 똑똑했던 것 같아요."
-
달콤한 배 향기 가득, 배 따러 가자
![](http://cfile9.uf.tistory.com/image/26799B4157FDD6B2064ABA)
세 번째 체험은 배 수확 체험입니다.
배를 따기 위해 넓은 배밭에 왔어요.
![](http://cfile10.uf.tistory.com/image/215D764157FDD6B422CFAD)
배 따는 방법에 대해서 배우고 있어요.
![](http://cfile22.uf.tistory.com/image/21557C4157FDD6B629B93D)
"이렇게 살살 만져보다가, 꼭지를 위로 틀면 됩니다."
![](http://cfile23.uf.tistory.com/image/243E743D57FDD6E430C93D)
"이게 맛있으려나?"
![](http://cfile10.uf.tistory.com/image/242E723D57FDD6E541F28A)
밑에서는 사다리를 잡아주고,
![](http://cfile4.uf.tistory.com/image/22687F3D57FDD6E70BC7EF)
딸까 말까 고민 중...
![](http://cfile21.uf.tistory.com/image/23748E4157FDD6BA0C4E54)
살살 만져보다가
![](http://cfile8.uf.tistory.com/image/2243D34157FDD6B83DB12B)
용기있게 뚝뚝 땄어요.
포장지 안에 싱싱한 배가 들어있네요.
![](http://cfile1.uf.tistory.com/image/25566C4157FDD6BC275B8B)
"저희들이 딴 배, 한번 드셔보실래요?"
-
쿵떡쿵떡, 인절미를 만들자
![](http://cfile22.uf.tistory.com/image/2657433D57FDD6E9180826)
이천 쌀로 만드는 인절미 맛은 어떨까요?
![](http://cfile30.uf.tistory.com/image/2751BA3D57FDD6EA1E8FB1)
네 번째 체험은 인절미 만들기입니다.
![](http://cfile23.uf.tistory.com/image/2166803D57FDD6EC0E457C)
먼저 시범을 보여주셨어요.
이렇게, '쿵! 떡~ 쿵! 떡~' 하면 돼요.
![](http://cfile25.uf.tistory.com/image/2653093D57FDD6EE1CBBB2)
"떡메가 너무 무거워~"
![](http://cfile10.uf.tistory.com/image/2711814357FDD7111B015E)
"쿵! 떡~ 쿵! 떡~"
![](http://cfile1.uf.tistory.com/image/2516664357FDD713162A3A)
"아이쿠, 엇나갔네~"
![](http://cfile25.uf.tistory.com/image/21758F4357FDD7182F317C)
![](http://cfile23.uf.tistory.com/image/2206BF4357FDD7152129C3)
모두 한 번씩 쿵떡 쿵떡!
![](http://cfile5.uf.tistory.com/image/260FEB4357FDD7161BA80F)
마무리는 통역하러 온 한국인 친구가~
![](http://cfile30.uf.tistory.com/image/2474984357FDD71A310906)
"아까 그 쌀이 이렇게 됐네요, 신기해요!"
![](http://cfile25.uf.tistory.com/image/220AFB4357FDD71B1D9E22)
더 신기한 건 맛이야!
![](http://cfile5.uf.tistory.com/image/267EF74657FDD747279984)
콩고물을 요리조리 묻혀서
![](http://cfile3.uf.tistory.com/image/27215C4657FDD74A0905D2)
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요.
![](http://cfile30.uf.tistory.com/image/26249E4657FDD743062ECD)
접시에 담아
![](http://cfile8.uf.tistory.com/image/2273A64657FDD7402D8DFA)
한 입 먹으면?
![](http://cfile22.uf.tistory.com/image/2514634657FDD7420E3D0C)